오늘은 UX 디자인의 프로세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제목을 보시고 잘 정리된 사용자경험 프로세스를 기대하신 분들에게는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런 내용은 아닙니다.
UCD (User Centered Design)관련 업무를 시작하면서 가장 처음에 관심을 두엇던 것이 프로세스였습니다. 물론 아직도 여기저기서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는 편이죠. 특히 성공 제품의 경우 더 그런데 왠지 그 프로세스대로 만들면 나도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을것만 같은 생각이 들기 때문이었습니다.
위 그림은 지난 8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있었던 UX Week 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피스2007 리본 UI 디자인 프로세스를 소개한 화면 입니다. 이런 개략적인 프로세스는 누구나 쉽게 금방 작성이 가능하지만 사실 생각해보면 과제 기획단계에서의 프로세스는 이정도 밖에는 적을수 없었던것 같습니다. 세부 Activity들이 포함된 자세한 프로세스는 과제 결과보고서를 할 시점에야 작성이 가능했었죠. 미리 계획하기 보다는 지나온 길을 되돌아 보면서요.
똑같은 목적지라고 하더라도 여러가지 경로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주변 경치나 도로사정등을 고려하고 이미 가봤던 다른 사람들의 여행기를 많이 참조해서 이동경로를 결정했습니다. 결국 다녀보니 계획을 자세히 세운 날일 수록 여행하기가 수월하더군요. 이제 곧 뭐가 나오겠구나, 도착 시간이 얼마나 남았구나등 예측하기가 쉬웠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보니 다른사람들이 다녔던 대로 미리 세부 계획을 세웠던 날들은, 여행이 수월하기는 했지만 꼭 좋은 점만 있는 것은 아니더군요.
왼쪽은 제가 여행을 하면서 찍은 사진이고, 오른쪽은 Google Map에서 해당 지역의 사진을 찾아본 결과입니다. 보시다 시피 거의 똑같은 사진들이 이미 많이 업로드 되어 있었습니다. 저 곳 뿐만 아니라 다른 곳들도 마찬가지 였고요. 여행의 결과물이 꼭 사진은 아니겠지만 저는 다른 사람들이 보고간 그런 경치를 똑같이 보고 갔던 것이죠. 하지만 여행 도중에 계획 없이 즉흥적으로 찾아가본 곳에서는 다른 사람이 보지 못했던 새로운 풍경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나만의 결과물을 찾아낸 것이죠.
저는 UX design에서의 프로세스는 언제 필요할지 모르는 스킬과 툴을 준비해 두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때 그때 필요할때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아이디에이션을 하는 일주일의 시간이 주어졌다면 브레인스토밍을 하다가 더 안나오면 계속 회의실에서 마른행주 쥐어짜는 것을 그만두고 다른 Idea Generation 방법들을 써볼 수 있을 것입니다. Idea Generation Methods 만해도 정말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Brainstorming 이라는 툴밖에 갖고 있지 않는 사람은 계속 그 방법을 쓸수밖에 없을테지만 말입니다.
네모박스에 화살표로 그려진 도식 보다는 오히려 아래 그림이 UX 디자인 프로세스에 더 가깝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국 디자이너가 요구사항을 받아서 결과물을 내는 작업이 UX 디자인이고 그 결과는 디자이너의 역량에 달렸기 때문이죠. 다시 말하면 미리 도구를 잘 준비해두고 자신의 역량을 높이면 프로세스가 개선된다고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림 : Leah Buley
'Proc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변 환경을 고려한 UX 디자인 (13) | 2008.12.22 |
---|---|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 (12) | 2008.11.12 |
DVD와 초컬릿 (22) | 2008.05.26 |
혁신 제품 개발을 위한 3가지 방법 (15) | 2008.04.14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오래 기다렸습니다!! 계속 운영하신다는 사실에 안도하네요 ㅎ.
계속 좋은글/한수 부탁드릴께요 :)
와 반년간 방치되었던 블로그에 이렇게 금방 댓글을 달아주시니 감격입니다. 자주 놀러오세요 :)
블로그에 오랜만에 컴백하셨네요!~
와~ 사진 참 멋지네요. 어딘지도 궁금...
네 그동안 좀 뜸했습니다. 아 그리고 저 사진의 장소는 아리조나주 Page라는 마을 근처에요. ㅎㅎ
저도 정말 오래 기다렸습니다. 여기서 배운 것들이 참 많았거든요.
감사합니다. 뭐라도 작은 도움이 되었다니 좋네요
앗 안녕하세요~^^ 서칭하다가 발견하고 @_@!!! 잘 지내시죠? 자주와서 볼게요~^^
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재작년인가 CHI에서 있었던 'The Great Debate'의 내용이 떠오르네요. 그때 패널 중의 발언이었던 "UI라는 거 결국, 공예같은 거라서 개개인의 능력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지는 거 아닐까요?"라는 말은 정말 충격적이었습니다. (그것도 발언자가 Jared Spool 이었던가... -_-a;; ) 이후에 이어진 토론도 어느 한쪽으로 솔직히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았기에 결국 UI가 과연 치밀한 과학적 방법론인가 라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 "?"가 달려 있습니다. 반대쪽에서 내세우는 방법론이라는 것도 사실은 이름만 많지 비슷비슷한 데다가, 죄다 정성적 접근이라 주관적 능력을 배제할 수가 없으니까요.
디자인이 소위 "black box"에서 "glass box"를 표방하기 위해서 그동안 프로세스나 방법론 측면에서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결국 크게 성공하지 못했던 것처럼, UI 리서치 분야도 결국 그렇게 되는 거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그게 좋은 건지 나쁜 건지도 잘 모르겠고요. ^^;;
안녕하세요 저야말로 항상 좋은글 잘 보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을 검색해 보니까 2005년 CHI에서 Can Usability Scale Up? 이라는 주제로 패널디스커션 했던 내용이 검색되더군요. 한번 내용을 구해서 읽어봐야 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개인적으로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경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모든 상황에 맞는 만능 프로세스는 없을테고 이를 프로젝트에 맞게 응용하는 것은 역시 개인의 역량이라고 생각해요.
정말 오랫만에 새글이네요 :)
UI는 ART라는 얘기를 농담반진담반으로 하곤 했었는데...마지막에 그리신 그림이 인상적이에요 ㅎㅎ
아이고 저그림은 제가 그린게 아니에용. 제 그림실력 잘 아시면서 ㅎㅎ. 오해의 소지가 있어서 원저자를 표시했습니다. "Being a UX Team of One" 이라는 슬라이드에서 따온거에요. 여기 첫 포스트에 Vision Driven Design 이란 말을 쓴적이 있는데 디자이너의 Vision에 따라 비슷한 프로세스라도 결과물의 차이가 많은것 같습니다. 그래서 하이버님도 다시 한국에 돌아오셔서 국가발전에 이바지 하셔야 되요 ㅎㅎ